반응형

 

Virtual Machine : 단일시스템에서 여러 OS가 동시에 실행

Container : 동일한 OS 커널을 공유하며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으로 프로세스를 격리, VM방식보다 오버헤드가 적고, 성능 손실이 적음

차이점: Hybervisor(물리적 리소스를 가상화 리소스(GestOS)로 변환))의 유무 

 

 

[출처]https://blog.netapp.com/blogs/containers-vs-vms/

 

[참고 출처]https://www.youtube.com/watch?v=JNc11rxLtmE

728x90

'[개발관련] >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RTL/rtl(return to libc)  (0) 2023.02.22
2022년 ICT 디지털 10대 이슈  (0) 2022.06.27
톰캣 WAS 웹서버 서블릿 용어 정리  (0) 2019.05.13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0) 2019.05.09
Batch OLTP OLAP DW DSS ETL  (0) 2019.05.09
반응형

-톰캣 :  컨테이너의 구현체  / 웹컨테이너(Servlet,  JSP/EL,  WebSocket) 구현한 서버 / 웹티어부분만 처리 가능 (http/https) 

 

-JEE 7 Components : 웹 컨테이너 + 비지니스컨테이너 (EJB) 포함

 

-WAS server:  ( tomcat=서블릿 컨테이너 - 자체 웹서버 기능도 있음)

  •  안정된 시스템 구성, DB 성능 보장, 비용절감
  • web 환경을 위한 n-tier 아키텍쳐 플랫폼, presentation(GUI) Business Logic 분리 운영, thread 관리, 부하조절(load balancing) 기능, 장애 대책(Fail-Over)기능, Transaction 처리 자동화, web service플랫폼으로써의 역할

-WEB server:   ( apache, nginx )

  •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문서와 같은 정적 페이지를 반환
  • was서버를 보완하고 부하를 줄이기 위해 연동하여 많이 사용
  • was앞에 proxy 적용하여 기본 리소스 처리 

-Servlet

  • 동적 웹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 .java 확장자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동적으로 작동하고, 응답은 html 이용 
  • java thread이용하여 동작
  • MVC패턴에서 Contoller 이용됨 (Model, View(JSP), Contoller(servlet))
728x90

'[개발관련] >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RTL/rtl(return to libc)  (0) 2023.02.22
2022년 ICT 디지털 10대 이슈  (0) 2022.06.27
VM, 컨테이너(Container) 차이  (0) 2019.05.13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0) 2019.05.09
Batch OLTP OLAP DW DSS ETL  (0) 2019.05.09
반응형

응용 프로그램의 빠른 개발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프로젝트, 간단한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필요한 프레임워크들이 모두 포함할 있도록 되어있음.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