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얼마전에 지인에게 추천 받아서 읽게된 책이 있다.

저자는 요즘 유행하는 파이어족이었다. 젊은 나이에 주식과 부동산으로 많은 부를 축척한 사람 같았다. 저자 처럼 될 수는 없게지만 지인은 이책을 통해서 많은 영감을 받은 듯하다. 

나도 읽으면서 몇가지 유용한 내용의 문장 2개만 적자면 

1) 자산 상승 사이클을 주목하고 바닥에 이르렀을 때 과감하게 빚을 얻어서 투자해야한다?!
당연한말일 수도있다. 물론 이말이 백프로는 아니겠지만, 투자해야할 분석하고 공부해서 확실할때 투자에 도전하라는 말 같다. 그리고 이 문장에 이것이 자본주의 게임에서 이기는 법이라는 말도 인상 깊다. 우리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가야할까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드는 문장이다.

2) 진보정권은 서민의 약자를 돕기 위해서 재정지출 ... 인플레이션이 오면 자산 가격이 상승 ! 
여러 경제학 책에서 강조하는 부분이다. 경제 관련 공부를 하면서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을 넓은 시야를 확보할수 있었고, 앞으로 주식과 투자를 해야하는 명확한 이유를 제시하는 책이었다. 

가격은 얼마 안하지만 정말 많은 내용이 축적 되어있는 책이다.

지인이 추천한 이유를 알정도로 경제, 주식, 부동산 관심 있으면 정말 추천할 만한 책이다.

책을 읽으면 위 문장이 무슨 말인지 확실히 이해 갈것이다.

728x90
반응형

고향집에서 농사를 짓고 계신데 그중에서 가장 많이 생상하는 농산물이 고추입니다. 

그래서 요즘 공부하고 있는 리액트를 이용해서 간단한 고추 시세 조회 앱을 개발하였습니다. 

농산물 가격은  KAMIS(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제공하는 OPEN API를 이용하였습니다. 

리액트 네이티브는 처음 사용해 봤지만 이전에 Vue Native를 사용했던 경험을 살려서 구현 해보았습니다. 

확실히 최신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인지 개발은 금방하였지만 역시나 제일 문제는 배포하는 과정이었습니다. 

현재 나오는 시세가 공공기관에서 조사하는 고추시세라서 신빙성이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지만 농작물 시세를 알고 싶

어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구현하는데 제일 큰 목적을 둔 것은 가독성이 었습니다. 앱을 실행하자 마자 가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쁜 디자인

고민하여 개발하였습니다. 누군가에 꼭 필요한 앱이 되었으면 합니다.

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todayfarm&hl=ko&gl=US

 

고추시세 - Google Play 앱

kamis에서 제공하는 Open API를 활용하여 고추농산물의 시세 조회 앱입니다. V.1.0.2 시세 등락율 표시 및 도매 시세, 소매 시세 분리 V.1.0.0 초기 앱 배포

play.google.com

 

728x90
반응형

Spring Framework에서 의존성 주입이 이루어진 후 초기화를 수행하는 메서드입니다. @PostConstruct가 붙은 메서드는 클래스가 service 로직을 수행하기 전에 발생합니다. 다른 리소스에서 호출되지 않는다해도 수행됩니다.

bean 라이프사이클에서 오직 한 번만 수행되는 것을 보장한다. WAS가 올라가면서 Bean이 생성될떄 한번만 초기화 됩니다. 즉 Bean이 여러번 초기화 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