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천연세제 3종!
베이킹소다, 구연산, 과탄산소다의 차이점과 용도, 그리고 사용하면서 주의할 점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해요.
베.구.산, 그들의 차이점
이 3가지 세제의 차이점을 알기 위해서는 우선 ph지수를 알아야 해요. ph7을 기준으로 그보다 높으면 염기성, 낮으면 산성 물질인데요.
베이킹소다(ph8)와 과탄산소다(ph11)는 염기성 세제로, 기름때, 음식물 얼룩, 땀 같은 산성 오염을 제거할 때 쓸 수 있어요.
구연산(ph1.5 미만)은 산성 세제로, 물때나 세제 찌꺼기 같은 염기성 오염을 제거할 때 적합하구요.
![](https://blog.kakaocdn.net/dn/FR2Cq/btrvVLMxpMU/fBbrkNkexuymPSwYvPo181/img.webp)
여기서 우선 염기성 세제(베이킹소다, 과탄산소다)와 산성세제(구연산)의 역할이 갈리게 되죠?
그럼 이제부터는 각 세제가 가지고 있는 특징과 활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볼게요!
1. 가장 만만한 염기성세제, 베이킹소다
베이킹소다는 셋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세제인데요. 이 베이킹소다의 특징은 순한 성분, 그리고 흡착력이에요.
1) 순한 성분 = 주방용
![](https://blog.kakaocdn.net/dn/cVUGvf/btrvZ4rEpS7/N98XKKG2yNNhbUTaNAW8Kk/img.webp)
베이킹소다는 아주 약한 염기성으로, 먹어도 될 정도의 순한 성분이에요. 그러다 보니 먹는 것과 연결되는 주방용으로 적합해요.
과일 껍질에 남아있는 농약을 제거할 때, 그리고 주방용품과 싱크볼을 닦을 때 활용하시면 좋아요.
2) 높은 흡착력 = 탈취용
베이킹소다는 때나 냄새를 흡착하는 흡착력이 뛰어나요. 그래서 냉장고, 신발장, 쓰레기통 같이 냄새 나는 곳에 넣어두면 냄새를 없애준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umEr0/btrvYIBJt09/Yk0WbnYDMFutoFTHrOvf71/img.webp)
💡 베이킹소다 사용시 주의할 점
베이킹소다는 가루상태에서 때나 냄새를 더 잘 흡착할 수 있어요. 그러니 물에 희석하지 마시고 가루 상태에서 활용해주세요!
2. 더 강한 염기성세제, 과탄산소다
과탄산소다도 베이킹소다와 마찬가지로 염기성 세제인데요. 과탄산소다는 강한 세정력, 그리고 표백기능을 특징으로 가지고 있어요.
1) 강한 세정력 = 찌든 때 제거
과탄산소다는 베이킹소다보다 훨씬 강한 염기성을 띄는 세제로, 세정력도 훨씬 강해요. 그러다 보니 베이킹소다로는 제거가 힘든 찌든 때에 사용하시면 좋아요.
저는 줄눈 사이, 스테인리스 냄비, 그리고 세탁조에 낀 때를 제거할 때 사용하고 있어요.
2) 표백 기능 = 세탁용
![](https://blog.kakaocdn.net/dn/lzDYi/btrv4Lc3Urp/bCCKKtdPPbCB7TnkmtGCK1/img.webp)
과탄산소다를 물에 넣으면 과산화수소와 탄산소듐으로 분해되는데, 이 중 과산화수소에서 활성 산소가 나오면서 표백 작용을 하게 돼요.
그렇기 때문에 옷감에 낀 때를 빼고 색감을 살릴 때 활용하시면 좋아요.
![](https://blog.kakaocdn.net/dn/deBbkV/btrvSBJ9kAU/oB8DW9weQfmIP0ksTCUqvK/img.webp)
때가 많이 낀 경우에는, 과탄산소다를 녹인 물에 옷을 담갔다가 세탁하면 효과가 좋구요. 세탁기에 세탁세제와 섞어서 넣어줘도 어느정도의 표백 효과를 볼 수 있어요.
💡 과탄산소다 사용시 주의할 점
과탄산소다는 강염기성이라 금속재질을 부식시킬 수 있어요. 그러니 스테인리스가 아닌 다른 금속 재질에는 사용하지 않으시는게 좋아요.
또 과탄산소다는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환기가 잘 되는 공간에서 사용하시는게 안전합니다.
3. 쓰임새가 다른 산성세제, 구연산
구연산은 베이킹소다, 과탄산소다와는 다르게 산성을 띄는 세제에요.
이런 특징 때문에 앞에 소개한 2개 세제와는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어요.
1) 물때 제거에 활용
![](https://blog.kakaocdn.net/dn/HwWiL/btrvX8AIK5l/Kxb7x7j5wf0cunEzV4p061/img.webp)
구연산은 산성 세제로, 염기성 오염을 제거할 때 좋아요. 수전에 낀 물때나 욕실 여기저기 말라붙은 비누 찌꺼기는 구연산수를 뿌려서 닦아주면 깨끗하게 없앨 수 있어요.
2) 산도 조절하기
![](https://blog.kakaocdn.net/dn/m7l6U/btrv08mo9v8/yKvDXgz4McKOGCphWaxb70/img.webp)
구연산은 산성 세제로, 염기성 세제 사용 후 산도를 조절할 때 사용하기 좋아요.
베이킹소다, 과탄산소다를 포함해서 우리가 사용하는 세제 중 대부분은 염기성 세제인데요. 물로 잘 헹궈준다고 해도 이 염기성분이 남아 옷이나 물건에 손상을 줄 수 있다고 해요.
그래서 헹굼 단계에서 산성 세제인 구연산을 사용하면, 중성 상태로 만들어 이런 손상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 구연산 사용시 주의할 점
구연산은 아주 강한 산성을 띄기 때문에 주로 물에 희석해서 활용하는데요. 가정에서 활용하실 때에는 2% 구연산수 (물 200cc에 1티스푼) 정도가 적절하다고 합니다.
또 구연산은 염기성 세제(베이킹소다, 과탄산소다)와 섞어서 사용하면 안되는데요. 산성 세제와 염기성 세제가 섞이면 중성이 되면서, 둘 중 어느 역할도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산도 조절을 할 때에도 동시에 넣는 게 아니라, 염기성 세제의 세탁과정이 끝난 후 헹굼 단계에서 사용을 하시는게 좋아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드사 별 결제(전월실적) 취소 시 반영되는 달 (0) | 2022.11.01 |
---|---|
네이버 2단계 인증 요청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네이버앱 간편로그인 토큰만료 간단해결 방법) (0) | 2022.08.03 |
하이패스 통행료 할인 (종류, 시간대) (0) | 2021.10.26 |
부부간 세대주 변경(정부24) (0) | 2021.01.25 |
공인인증서 최초 발급 은행 확인 방법 (0) | 2020.05.25 |